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Unreal Engine
- 언리얼 엔진
- gravity direction
- MAC
- listen server
- 유니티
- UI
- CTF
- Aegis
- nanite
- rpc
- gameplay effect
- Multiplay
- local prediction
- Replication
- 게임개발
- unity
- 언리얼엔진
- map design
- gas
- photon fusion2
- animation
- 게임 개발
- os
- stride
- ability task
- gameplay tag
- attribute
- dirty cow
- gameplay ability system
- Today
- Total
Replicated
Link layer - introduction 본문
네트워크 장비
Repeater : L1 계층
- 물리 계층에서 네트워크 구성 시 사용
- 약해진 신호를 재생성
- 통신 선을 연장하는 효과
Hub : L1 계층
-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게 전달 (주소 인식 불가)
Bridge: L2 계층
- 리피터 기능 + 필터링 기능
- 목적지 주소(MAC 주소)를 검사해서 프레임을 전달할 포트(하드웨어)를 결정
- 포트와 주소를 연결할 테이블 존재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연결 (LAN 연장)
- 네트워크 분리
Swtiching Hub: L2 계층
- 목적지 주소를 인식, 해당 목적지 포트로만 전달
- LAN에 많이 사용
Backbone 장치
- 여러 네트워크(LAN)을 연결해주는 장치
- 백본 스위치
주요 용어
노드: 호스트와 라우터
링크: 인접한 두 노드를 물리적인 매체로 연결, 연결 상태를 점검
링크 레이어 패킷 이름: 프레임
데이터링크 레이어는 링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인접한 노드로 패킷을 전송할 의무가 있음
이더넷, 802.11 등 굉장히 많은 프로토콜 존재함
링크 레이어에서는 헤더 말고도 뒤쪽에 트레일러가 붙음
Header | Packet | Trailer |
그리고 소스, 목적지를 구분하기 위해 MAC 어드레스 사용
링크 레이어 서비스
flow control : 인접한 두 노드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조절
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 재전송 없이 비트 에러 수정
half-duplex, full-duplex 통신
링크레이어는 어댑터 (= network interface card, NIC 혹은 랜 카드)에서 구현됨
각 랜 카드는 고유한 맥 주소를 가짐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ple access protocols/ 채널 분할, taking turns (0) | 2024.06.07 |
---|---|
Link layer - error detection, correction (0) | 2024.06.07 |
멀티캐스팅 (0) | 2024.06.07 |
네트워크 매니지먼트와 SNMP (0) | 2024.06.07 |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