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gameplay effect
- nanite
- Multiplay
- UI
- gas
- listen server
- animation
- gameplay ability system
- ret2libc
- gravity direction
- local prediction
- dirty cow
- photon fusion2
- 언리얼 엔진
- Unreal Engine
- 게임 개발
- Aegis
- os
- unity
- ability task
- Replication
- MAC
- 유니티
- rpc
- 언리얼엔진
- gameplay tag
- attribute
- 게임개발
- CTF
- map desig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flow control (1)
Replicated
TCP #3 Flow Control & Congestion Control
흐름 제어: 수신자 측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버퍼가 꽉 차서 패킷 손실)혼잡 제어: 네트워크 상에 문제가 생긴 거(라우터 큐가 꽉 차서 패킷 손실 / 큐에서 나갈 때까지 딜레이가 긴 경우) 송신자가 이 두개를 구분할 수 있을까?할 수 있다 받는 쪽에서 문제가 생기는 건 헤더에 recieve window(rwnd)값을 보고 어느정도 알 수 있다.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기는 건 IP 계층의 도움을 받아 가능하다.* 라우터에서 문제를 파악하면 IP의 ECN을 활성화하고* 수신 측에서는 TCP의 ECE를 1로 바꿔서 아크를 보내면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파악 가능 구분이 가능은 한데, 문제는 두가지 문제에 따로 대처하기 보다는 같이 대처한다.일단 설명은 두 가지로 나눠서 가능하다...
네트워크
2024. 4. 12. 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