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T, BBP
    보안개론 2024. 6. 8. 19:31

    PT (Penetration Testing)

    = 침투 테스팅, 모의 해킹 = 윤리적 해킹

    아웃 소싱을 통해 취약점을 찾음 (바이너리 컴포넌트 단위에서 찾음)

    실제 구동되는 환경을 가정해서 진행

    블루팀: 방어자, 레드팀: 공격자

    레드팀은 실제 해커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취약점을 찾음

     

    윤리적 해킹

    침투 테스트와 같은데, 기본적으로 보수를 받고 합법적으로 컴퓨터나 기기에 침투하는 일을 뜻함

    전문 침투 테스터는 서면으로 범위와 목적을 합의해야 함


    CAPEC (Common Attack Pattern Enumeration and Classification)

    사이버 공격 패턴 목록 및 분류

     

    MITRE ATT&CK Framework

    - 실제 공격 관찰을 통해 작성된 위협 전술과 기법들의 지식 기반

    - 적대적 행위의 지식 기반, 공격들의 분류


    BBP (Bug Bounty Program)

    버그 바운티: 해킹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보안 취약점에 포상금을 걸고 제보 받음

    = 보안 취약점 신고 포상제

    = vulnerability rewards program (VRP)

     

    과거에 Mozilla, Github, Google, Samsung 등의 기업에서 했던게 유명함

    현재는 유명해진 방법이라 많은 회사에서 하는 방법

     

     

    전통적인 침투테스트는 높은 비용으로 소수의 인력을 고용, 연간 1~2회 진행

    -> 인원과 횟수가 모자라 취약점 관리가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듦

    => 버그 바운티 프로그램 차용

     

    주의할 점은 동의를 받고 허용된 부분에 대해서만 취약점을 찾지 않으면 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음

    Bug Bounty Penetration
    다양한 기술을 가진 많은 수의 사람들이 시도 소수의 인원
    찾아낸 버그의 치명적인 정도에 따라 포상 찾아낸 버그의 양에 따라 돈을 받음
    시장 출시까지 시간이 50%이상 절약됨 시장 진출까지 좀 더 시간이 걸림
    정교한 취약점 시나리오 인원의 한계로 인해 취약점 시나리오에 한계
    경쟁적 별로 작업자들이 경쟁적이진 않음
    Pay Per Bug 레포트, 양에 기반하여 프라이싱

    '보안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 기법 정리  (0) 2024.06.08
    Security Testing  (0) 2024.06.08
    OWASP top 10 (2021)  (0) 2024.06.07
    취약한 언어 / SDLC / 범위를 벗어난 쓰기 / 완화 방법 등  (0) 2024.06.07
    Byte Ordering, Simple Buffer Overflow  (0) 2024.06.0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