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언리얼엔진
- reverse gravity
- 유니티
- Unreal Engine
- CTF
- pdlc
- linear difference equation
- 유스케이스
- sampling theory
- 운영체제
- dtft
- Race condition
- ability task
- 게임 개발
- 게임개발
- frequency-domain spectrum analysis
- DSP
- MAC
- stride
- ret2libc
- gas
- gameplay ability
- DP
- 메카님
- gameplay effect
- dirty cow
- 언리얼 엔진
- MLFQ
- Rr
- Security
Archives
- Today
- Total
다양한 기록
플래시 메모리과 파일 시스템 본문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차이
디스크는 리드 라이트 두 개만 지원
- 플래시 메모리는 추가로 이레이즈 연산이 있음 -> 제공하는 추상화가 다름
- 리드, 라이트는 4/8키로 바이트 단위(페이지)로 가능한데 이레이즈는 512KB 단위(블록)
- 내구성: 1000번 라이트하면 고장남
칩은 블록으로 나누어지고, 블럭에 페이지가 있음
페이지 하나하나가 4K, 혹은 더 크기도 함
* 디스크의 블럭과 플래시의 블럭은 다름
솔루션
Out-of-place update
원래 있던 위치 말고 다른 위치에 씀
그리고 inode의 포인터 위치를 바꿈
그리고 원래 있던 건 인밸리드 블록으로 처리하고 가비지 컬렉션해서 회수
F2FS: Flash Friendly FS by Samsung
FFS처럼 Inode를 쓰고 LFS처럼 Out-of-place 업데이트를 함
그런데 플래시 메모리는 이런 플래시 메모리 전용 파일 시스템만 쓸 수 있는가 -> X
FTL (Flash Translation Layer) 쓰면 됨
밖에서 볼 때는 플래시 메모리가 아니라 디스크처럼 보이고
FTL이 매핑, 가비지 컬렉션 같은 거 해줌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gmentation (세그멘테이션) (0) | 2024.06.15 |
---|---|
메모리 가상화 - introduction (0) | 2024.06.15 |
Consistency other approaches / Ext2,3,4 (0) | 2024.06.15 |
Consistency / Journaling (0) | 2024.06.15 |
Consistency / FSCK (File System Checker) (0) |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