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스케이스
- 언리얼엔진
- 메카님
- 게임개발
- CTF
- dtft
- 운영체제
- MAC
- 배경 그림
- 유니티
- DSP
- MLFQ
- frequency-domain spectrum analysis
- TSet
- Security
- stride
- AINCAA
- linear difference equation
- DP
- Rr
- Race condition
- RBAC
- 게임 개발
- dirty cow
- Double free
- sampling theory
- pdlc
- STCF
- Unity #Indie Game
- ret2libc
- Today
- Total
다양한 기록
Swap / Replacement Policies / Thrashing 본문
프로세스의 어떤 데이터는 디램에, 어떤 데이터는 디스크 상에 존재할 수도 있음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두고,
잘 안쓰는 데이터는 디스크에 둘 수 있음 => 디맨드 로딩
스왑 공간
디스크 상의 공간
파일 시스템에서 첫번째에 루트 파일 시스템, 두번째 파티션에 스왑 공간을 둘 수 있음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디스크로 이동할 때 스왑 공간을 사용
메모리 스페이스가 부족할 때 스왑함
어떤 단위로 옮기느냐
-> 페이지나 프로세스 단위
언제: light(페이지) VS heavy(프로세스) 메모리 헝그리 컨디션
어떻게: replacement policy (LRU pages, low-priority processes)
Benefit
- 프로세스를 위한 버추얼 메모리가 엄청 큰 것처럼
- 프로그래머한테 투명함 (vs memory overlay)
Present bit int PTE
- 페이지가 메모리에 있는지 스왑 아웃되었는지 식별용
- 프레젠트 비트가 1 -> 페이지에 접근
- 프레진트 비트가 0 -> Page Fault
Page Fault
- 일종의 트랩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Page Fault 핸들러 트리거 =>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페이지를 가져옴
- 스왑 아웃 -> 스왑 스페이스로 내림
페이징의 특징
- 디맨드 로딩 지원하기 편함
- 하드웨어 프렌들리
- 고정 크기 ...
버추얼 메모리에서 페이지를 로딩한다
-> 파일 시스템 입장에선 inode를 읽는 것임
=> 버추얼 메모리와 파일 시스템이 협동을 하면서 작동
HW cotrol flow
VPN = (VirtualAddress & VPN_MASK) >> SHIFT
(Success, TlbEntry) = TLB_Lookup(VPN)
if(Success == True)
if(CanAccess(TlbEntry.ProtectBits) == True)
Offset = VirtualAddress & OFFSER_MASK
PhysAddr = (TlbEntry.PFN << SHIFT) | Offset
Register = AccessMemory(PhysAddr)
else
RaiseException(PROTECTION_FAULT)
else
PTEAddr = PTBR + (VPN * sizeof(PTE))
PTE = AccessMemory(PTEAddr)
if(PTE.Valid == False)
RaiseException(SEGMENTATION_FAULT)
else if(PTE.Present == True)
TLB_INSERT(VPN, PTE.PFN, PTE.ProtectBits)
RetryInstruction()
else if(PTE.Present == False)
RaiseException(PAGE_FAULT)
SW control flow
PFN = FindFreePhysicalPage()
if(PFN == -1)
PFN = EvictPage()
DiskRead(PTE.DiskAddr, pfn)
PTE.Present = True
PTE.PFN = PFN
RetryInstruction()
세그멘테이션 파울트와 페이지 파울트의 차이
세그멘테이션 파울트: 인밸리드한 주소에 접근해서 발생. 프로세스를 죽여야 함
페이지 파울트: 합법적인 페이지 접근인데, 물리 메모리에 없을 뿐임. 특정 프레임을 메모리에 올리고 다시 수행, 어떤 프로세스를 중단시키지 않고 허용함
Evict
가용 프레임이 없는 경우 기존 프레임 중 하나를 쫓아내야 함
-> 페이지 교체 .. 어떤 페이지를 교체할 것이냐가 이슈
디맨드 페이징 (= 디맨드 로딩)
어떤 프로세스를 수행시킬 때 로딩없이 일단 매핑 정보만 만듦
수행 중 매핑만 있으면(페이지 번호는 있는데 프레임이 없음) 페이지 파울트 발생
-> 레이지 매너로 로딩 (실제 사용될 때 되서야 로딩함)
가용 공간이 충분하면 별로 문제는 없음
만약 프리 프레임이 부족하다 -> OS한테 일부 페이지를 빼달라 요청 가능
=> 교체 정책(Replacement Policy): 어떤 페이지를 Evict할지 결정
교체 시 목표
캐시 히트 최대로 하기 (= 캐시 미스 최소화)
* 물리 메모리는 스왑 공간의 일종의 캐시라 볼 수 있음
모델: AMAT (Average memory access time)
[ AMAT = (Phit * Tm) + (Pmiss * Td) ]
Tm: 메모리 액세스 레이턴시
Td: 디스크 액세스 레이턴시
Phit: 캐시 히트 확률 (Pmiss = 1 - Phit)
예시
가정: Tm = 100ns, Td = 10ms (10,000,000ns)
Phit = 50% => AMAT = 0.5 * 100 + 0.5*10000000 = 5000050 = 5ms
Phit = 90% => AMAT = 0.9 * 100 + 0.1*10000000 = 1000090 = 1ms
Phit = 99% => AMAT = 0.99 * 100 + 0.01*10000000 = 100099 = 0.1ms
이때, 히트율은 정책을 어떻게 짜느냐에 따라 달라짐
Optimal replacement policy(= MIN)
페이지 교체 시 가정 먼 미래에 참조될 페이지를 교체함
구현은 불가능하고 최고 성능 비교 목적으로 존재, 연구하는 입장에서 유용함
Reference string: 0 1 2 0 1 3 0 3 1 2 1
캐시 사이즈: 3프레임
Access | Hit/Miss | Evict | Resulting Cache State |
0 | Miss | 0 | |
1 | Miss | 0, 1 | |
2 | Miss | 0, 1, 2 | |
0 | Hit | 0, 1, 2 | |
1 | Hit | 0, 1, 2 | |
3 | Miss | 2 | 0, 1, 3 |
0 | Hit | 0, 1, 3 | |
3 | Hit | 0, 1, 3 | |
1 | Hit | 0, 1, 3 | |
2 | Miss | 3 | 0, 1, 2 |
1 | Hit | 0, 1, 2 |
히트율 = 6/11 = 54.5%
Compulsory miss (Cold-start miss)
Capacity miss
Confict miss (direct, set-associate case)
FIFO (First In First Out)
Access | Hit/Miss | Evict | Resulting Cache State |
|
0 | Miss | First-in-> | 0 | |
1 | Miss | First-in-> | 0, 1 | |
2 | Miss | First-in-> | 0, 1, 2 | |
0 | Hit | First-in-> | 0, 1, 2 | |
1 | Hit | First-in-> | 0, 1, 2 | |
3 | Miss | 0 | First-in-> | 1, 2, 3 |
0 | Miss | 1 | First-in-> | 2, 3, 0 |
3 | Hit | First-in-> | 2, 3, 0 | |
1 | Miss | 2 | First-in-> | 3, 0, 1 |
2 | Miss | 3 | First-in-> | 0, 1, 2 |
1 | Hit | First-in-> | 0, 1, 2 |
먼저 메모리에 들어왔었던 페이지를 뺌
히트율 = 4/11 = 36.4%
장점: 심플
단점: 로컬리티 고려 안함, Belady's anomaly (캐시가 커졌는데도 캐시 히트율이 떨어질 수 있음)
Random
랜덤으로 골라서 쫓아냄
Access | Hit/Miss | Evict | Resulting Cache State |
0 | Miss | 0 | |
1 | Miss | 0, 1 | |
2 | Miss | 0, 1, 2 | |
0 | Hit | 0, 1, 2 | |
1 | Hit | 0, 1, 2 | |
3 | Miss | 0 | 2, 1, 3 |
0 | Miss | 1 | 2, 0, 3 |
3 | Hit | 2, 0, 3 | |
1 | Miss | 3 | 2, 0, 1 |
2 | Miss | 2, 0, 1 | |
1 | Hit | 2, 0, 1 |
히트율 = 5/11 = 45.4%
장점: 심플
단점: 로컬리티 고려안함, 예측 안됨
LRU (Least Recently Used)
Access | Hit/Miss | Evict | Resulting Cache State |
|
0 | Miss | LRU-> | 0 | |
1 | Miss | LRU-> | 0, 1 | |
2 | Miss | LRU-> | 0, 1, 2 | |
0 | Hit | LRU-> | 1, 2, 0 | |
1 | Hit | LRU-> | 2, 0, 1 | |
3 | Miss | 2 | LRU-> | 0, 1, 3 |
0 | Hit | LRU-> | 1, 3, 0 | |
3 | Hit | LRU-> | 1, 0, 3 | |
1 | Hit | LRU-> | 0, 3, 1 | |
2 | Miss | 0 | LRU-> | 3, 1, 2 |
1 | Hit | LRU-> | 3, 2, 1 |
제일 오래 전에 쓰였던 페이지를 내림
히트율 = 6/11 = 54.4%
장점: 로컬리티 고려
단점: 반복문에서 안좋음
역사 기반 정책
과거에 참조되는 것들을 고려해서 정책을 결정
* 가장 최근에 쓰인 것: MRU
워크로드 예시
No-locality: LRU == FIFO == RAND
로컬리티 있음: LRU > FIFO == RAND
루프: LRU == FIFO < RAND
어떻게 LRU를 구현하나?
보통 링크드 리스트로 구현됨
페이지 액세스
- 리스트의 헤드에 삽입 (MRU 포지션)
- 모든 페이지는 다음 포지션으로 이동
- 제거 시 LRU 위치에서 제거
그런데 구현이 쉽지 않음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 방식이 괜찮음
하지만 메모리에서는, 모든 메모리 액세스를 모니터링 해야하는데
메모리 참조는 하드웨어에 의해 가속되기에 OS가 모니터링하기 쉽지 않음
=> LRU를 근사해야 함
Clock Algorithm
레퍼런스 비트를 사용하는 FIFO
교체하려고 하면 FIFO 순으로 쭉 봄
HW: 페이지가 액세스되면 레퍼런스 비트를 1로 세팅
OS:
- 레퍼런스 비트가 1: 0으로 만들고 한 번 봐줌
- 레퍼런스 비트가 0: 스왑 아웃
Advanced version
- Periodic clearing
- 더티 비트까지 사용
Thrashing
시스템이 자기가 해야할 일을 하지 못하고 페이지 인, 페이지 아웃만 계속 하게 되는 경우
가용 물리 메모리가 충분하지 않아서 발생함
프로세스가 많을 수록 CPU 이용률이 높아지는데, 어느 순간 뚝 떨어지는 경우가 있음
주로 IO, 페이지 파울트가 계속 발생하기 때문
Working Set
WS(t): t 시점에서 델타 만큼의 이전 시간 구간에서 참조된 페이지들의 셋
워킹 셋의 응용
스레싱 감지 혹은 새 프로세스를 시작할 기회 찾기 가능
D는 현재 프로세스'들'이 요구하는 메모리 양 (프로세스들의 워킹 셋의 사이즈를 다 더한 것)
m은 실제 가용한 프레임 수
D > m
- 요구하는 양이 사용 가능한 양보다 크다 : 스레싱
-> 프로세스 중 하나를 서스펜드 (프로세스나 몇몇 페이지를 스왑 공간으로 내려야 함)
D < m
새 프로세스가 시작 가능
=> 멀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최대한 하면서 스레싱을 예방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b #2 : Concurrent Binary Search Tree (0) | 2024.12.29 |
---|---|
Lab #1 : Process Scheduler Simulating (0) | 2024.12.29 |
Paging (페이징)과 TLB (0) | 2024.06.16 |
Segmentation (세그멘테이션) (0) | 2024.06.15 |
메모리 가상화 - introduction (0) | 2024.06.15 |